전체보기
[가구·가족] 맞벌이 가구의 구성과 특성
- 게시일2022-12-13
- 연도2022
- 저자이재림
- 조회10,474
첨부파일
- 02-3 맞벌이 가구의 구성과 특성(2022).xlsx (260.7KB) 다운로드 미리보기
- [가구·가족] 맞벌이 가구의 구성과 특성_수정.pdf (1.68MB) 다운로드 미리보기
- 전체 유배우자 가구 중에서 맞벌이 가구의 비중은 절반이 되지 않으며, 지난 10년간 크게 변하지 않았다.
- 맞벌이 가구라고 하면 미성년 자녀를 키우면서 부부가 모두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지만, 전체 맞벌이 가구 중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경우는 약 40%에 불과하다.
-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유배우자 가구 중에서 맞벌이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다. 맞벌이의 비율은 막내자녀가 청소년, 아동, 영유아인 경우의 순으로 높지만, 2015년부터 2021년 사이의 증가폭은 막내자녀가 영유아인 경우에 더 크다.
- 전체 근로자 가구 중에서 맞벌이 가구의 소득과 지출은 외벌이 가구보다 많으며, 소비지출 항목 중 교육비와 음식·숙박비에서 맞벌이와 외벌이 가구의 차이가 크다.
- 맞벌이 가구에서 근로시간은 남편이 아내보다 길고, 그 차이는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경우에 더 크게 벌어진다. 그러나, 가정관리와 자녀돌봄 시간은 맞벌이 아내가 남편보다 길다. 맞벌이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은 외벌이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과도 차이가 없다. 피곤함을 느끼는 비율은 맞벌이 남편보다 맞벌이 아내가 높다.
- 우리나라의 맞벌이 가구 비중은 OECD 국가 중에서 상당히 낮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