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가구·가족] 노인 가구 유형의 변화를 통해 본 노년기 가족
- 게시일2022-12-13
- 연도2022
- 저자차승은
- 조회11,262
첨부파일
- [가구·가족] 노인 가구 유형의 변화를 통해 본 노년기 가족.pdf (1.61MB) 다운로드 미리보기
- 02-2 노인 가구 유형의 변화를 통해 본 노년기 가족(2022).xlsx (227.59KB) 다운로드 미리보기
- 지난 10년 동안 노인이 혼자 살거나 배우자와 단둘이 살아가는 형태의 노인 단독가구가 노인 전체 가구의 3분의 2를 차지하면서 그 비중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 노인 독거가구는 지난 2000~2020년 사이에 그 비중이 3.8%p 가량 증가하였고, 노인 부부가구는 2000년에 노인 전체 가구의 33.1%를 차지한 이후 2020년에 34.9%로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 노인 가구 중에서도 노인 부부가구는 노인 독거 혹은 자녀 동거가구에 비해 전반적인 삶의 질 수준, 건강, 자녀 관계, 친구 및 지역사회 관계에서 모두 삶의 질에 대한 평가가 높은 편이다.
- 최근에 올수록 노인들은 독립적으로 살아가면서 재가돌봄서비스를 받거나 시설 요양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에 비해 자녀와 동거를 선호하는 비율은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이며, 거동이 불편할 때에도 자녀동거를 원하는 노인은 소수에 불과하다.
- 국제비교자료를 통해 노인의 가구형태를 보면, 선진국에서 노인 부부가구가 노인 가구의 보편적인 가구형태로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인 부부가구는 생애후반기에 배우자 사별이나 돌봄 이슈와 연동하여 노인 독거나 자녀 동거가구로 분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