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교육·훈련] 코로나19 시기 대학 생활과 졸업 후 취업 실태
- 게시일2022-12-13
- 연도2022
- 저자채창균
- 조회1,030
첨부파일
- [교육·훈련] 코로나19 시기 대학 생활과 졸업 후 취업 실태.pdf (2.44MB) 다운로드 미리보기
- 04-2 코로나19 시기 대학 생활과 졸업 후 취업 실태(2022).xlsx (320.43KB) 다운로드 미리보기
- 전체적으로 볼 때, 재적학생 대비 휴학생 비율이나 중도탈락율은 코로나19로 인해 뚜렷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신입생이나 상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휴학생 비율과 중도탈락율이 증가하였다.
- 학사학위취득 유예생 수는 뚜렷한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노동시장 여건이 어려워진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코로나19가 대졸자 취업의 양적 측면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그 영향은 단기에 그쳤다. 코로나19가 고용률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은 전문대보다는 일반대, 여성보다는 남성, 이공계열보다는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더 심각하게 나타났다.
- 코로나19가 대졸자 취업의 질적 측면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지만, 장기간 지속되지는 않았다. 취업의 질적 측면의 악화는 노동시장에서 열악한 위치에 놓인 계층에 집중되고 있다.
- 임금근로자 중 300인 이상 대기업 취업자의 비중이 2020년 이후 확대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영세 사업장이나 중소기업의 경영 여건이 더 악화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