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어업생산동향조사 결과(잠정) 보도자료
-
담당자
최종국
-
담당부서
농어업통계과
-
전화번호
042-481-2559
-
게시일
2013-02-19
-
조회
10667
- 첨부파일
-
- - 2012년_어업생산동향조사_결과(잠정)_보도자료.hwp[329.5KB]다운로드
미리보기
- - 2012년_어업생산동향조사_결과(잠정)_보도자료.pdf[464.1KB]다운로드
미리보기
ㅇ 2012년 어업생산량은 3,183천톤으로 2011년 3,256천톤보다 73천톤(-2.2%), 어업생산금액은
7조6,890억원으로 2011년 8조729억원보다 3,838억원(-4.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 연·근해어업은 기상악화(태풍, 가뭄, 폭염, 한파 등)로 어군이 분산되고 어로활동이 부진하여 어획량이 감소하였으며, 천해양식어업은 수온하강에 따른 동사 피해 방지를 위해 양식 어류 출하 증가, 해조류(김류 등)양식작황 호조 및 전복먹이용 다시마 양식 시설면적 확대 등으로 생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양어업은 태평양해역의 주 어종인 다랑어류 자원 증가 및 포클랜드 해역 오징어 자원 증가에 따른 조업 확대로 어획량이 증가하였으며, 내수면어업은 뱀장어 치어 부족 등 출하 가능한 물량 부족에 따른 생산량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ㅇ 어업생산량
- 연.근해어업 : (’11) 1,235 → (’12) 1,091천톤(-144천톤 / -11.7%)
- 천해양식어업 : (’11) 1,478 → (’12) 1,489천톤(11천톤 / 0.8%)
- 원 양 어 업 : (’11) 511 → (’12) 575천톤(65천톤 / 12.7%)
- 내수면어업 : (’11) 32.3 → (’12) 28.1천톤(-4.1천톤 / -12.8%)
ㅇ 생산금액은 연.근해어업의 어획 부진 등 생산량 감소에 따라 생산금액 감소
- 연·근해어업 : (’11) 4조4,441 → (’12) 3조9,510억원(-4,931억원 /-11.1%)
- 천해양식어업 : (’11) 1조7,842 → (’12) 1조7,593억원( -250억원 / -1.4%)
- 원 양 어 업 : (’11) 1조4670 → (’12) 1조6554억원(1,884억원 / 12.8%)
- 내수면어업 : (’11) 3,775 → (’12) 3,233억원(-542억원 /-14.3%)
ㅇ 어업별 품종별 생산동향은
- 연.근해어업에서는 멸치가 222천톤(20.3%)으로 가장 많이 어획되었으며, 살오징어 181천톤,
고등어류 128천톤, 참조기.붉은대게 37천톤 순 이었으며,
- 천해양식어업은 김류가 350천톤(23.5%), 미역 340천톤, 다시마류 309천톤, 굴류 285천톤,
홍합류 61천톤, 넙치류 39천톤, 조피볼락(우럭) 23천톤 순이며,
- 원양어업은 다랑어류가 301천톤(42.3%), 오징어 82천톤, 명태 39천톤, 남빙양새우 26천톤,
꽁치 14천톤, 민어류 12천톤 순이며,
- 내수면어업은 뱀장어가 4.4천톤(15.5%),메기3.8천톤),큰논우렁이3.2천톤, 송어류 3.1천톤,
붕어 2.7천톤 순으로 생산량이 많았다.
ㅇ 시·도별 어업생산동향을 보면
- 국내 어업생산량 전체 2,608천톤으로 전남 1,129천톤(43.3%), 경남 608천톤, 부산 352천톤,
경북 148천톤, 충남 112천톤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