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대차대조표의 추계대상 중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는 자금순환표 통계를 이용하며, 비금융(실물)자산은 해당 자산의 특성과 기초자료
여건 등을 고려하여 자산액을 추계함
○ 비금융(실물)자산 중 고정자산은 영구재고법을 적용하며 육성생물자원과 재고자산 및 토지자산은 물량가격법(또는 직접추계법)을,
지하자원과 입목자산은 순현재가치법을 적용하여 추계함
- (영구재고법) 자산의 폐기와 마모, 가격 하락 등을 고려한 ‘연령-생존·효율·가격함수’를 장기 투자시계열에 각각 결합하여 자산액을 추계
- (물량가격법) 자산의 물량(수량)에 대응되는 시장가격을 곱하여 자산액을 산출
- (현재가치법) 지하자원은 자원으로부터 기대되는 미래수익을 할인하는 현재가치법으로 추계하며 입목자산은 입목축적량에 입목단가를
곱하는데, 물량가격법과 유사하지만 입목생장률이 할인율과 동일하다고 가정한 것이기 때문에 변형된 순현재가치법으로 해석 가능함
[ 자산별 자본스톡 추계방법 ]
자산분류 | 대상 자산 | 추계방법 | |
---|---|---|---|
고정자산 | 건설자산 | 주택, 비주거용 건물, 토목건설 | 영구재고법 |
설비자산 | 운송장비, 기계류 | ||
육성생물자원(동물 및 식물) | 물량가격법 | ||
지식재산생산물 | 연구개발, 소프트웨어, 광물탐사 오락·문학 및 예술품 원본 |
영구재고법 | |
재고자산 | 원재료, 재공품, 완성품, 재판매용 재화 | 산업별 직접추계 | |
토지자산 | 국토 전체 | 물량가격법 | |
지하자원 | 금속광물·천연가스, 비금속광물 | 현재가치법 | |
입목자산 |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 변형된 순현재가치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