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통계
2020년 신혼부부통계 결과
- 담당자강숙희
- 담당부서행정통계과
- 전화번호042-481-3626
- 게시일 2021-12-09
- 조회11808
첨부파일
- (한글) 2020년 신혼부부통계 결과 보도자료.hwp (3.8MB) 다운로드 미리보기
- (PDF) 2020년 신혼부부통계 결과 보도자료.pdf (2.15MB) 다운로드 미리보기
[2020년 신혼부부통계 결과]
동 통계의 작성대상은 대상기간* 내 혼인 신고 후 부부 중 한명 이상 국내 거주하며 혼인을 유지 중인 부부임
2020년 11월 1일 기준 혼인기간 5년 이내인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작성하나, 금년에는 7년 이내 신혼부부 현황도 추가로 작성하여 보도자료 내 제공함
* 대상기간: (5년 이내) ’15. 11. 1.∼ ’20. 10. 31. (7년 이내) ’13. 11. 1.∼ ’20. 10. 31.
◇ 기본현황
- ‘20년 11월 1일 기준 신혼부부는 118만 쌍으로 전년 대비 6.1% 감소
- 재혼부부의 비중은 20.5%로 전년 대비 0.1%p 하락
- 신혼부부의 거주지역은 경기(28.8%), 서울(18.5%), 경남(6.1%) 순이고, 전년 대비 신혼부부 수는 17개 시도 모두 감소
◇ 가구 구성
- 함께 살고 있는 신혼부부 비중은 88.9%로 전년 대비 2.1%p 상승
(혼인종류별로는 초혼부부는 90.7%, 재혼부부는 82.1%가 함께 거주)
◇ 출산 및 보육(초혼부부)
-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의 비중은 44.5%로 전년대비 2.0%p 상승
- 평균 출생아 수는 외벌이 부부(0.76명)가 맞벌이 부부(0.60명)보다 주택을 소유한 부부(0.76명)가 주택 미소유 부부(0.62명)보다 많음
- 만 5세 이하 자녀의 보육은 어린이집 48.5%, 가정양육 45.0% 순이고, 전년대비 가정양육은 상승(1.0%p)한 반면, 어린이집은 하락(-1.8%p)
◇ 경제활동 현황(초혼부부)
- 맞벌이 부부의 비중은 전체의 52.0%로 전년대비 2.9%p 상승
- 부부 합산 평균 소득(연간)은 5,989만원으로 전년대비 4.9% 증가
- 금융권 대출잔액을 보유한 부부는 87.5%이며, 중앙값은 1억 3,258만원임
- 금융권 대출잔액의 중앙값은 맞벌이 부부가 외벌이 부부보다 약 1.3배 높고, 주택을 소유한 부부가 주택 미소유 부부보다 약 1.5배 높음
◇ 주거 현황(초혼부부)
- 가장 많이 거주하는 거처 유형은 아파트(71.7%)로 전년대비 1.9%p 상승
- 주택을 소유한 신혼부부는 42.1%로 전년대비 0.8%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