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사이트맵 바로가기

소개

  • 국가통계발전포럼은 국가통계 전 분야의 주요 현안에 대한 생산자와 이용자의 소통확대를 통해 국가 통계 확충과 통계 정책 개선을 실시하고자 국가통계 생산주체인 통계작성기관, 정책고객인 정책부서 및 수요자인 국민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통계청의 대표 포럼입니다.
  • 국가통계발전포럼 홈페이지(forumkostat.kr)

제14회 국가통계발전포럼 개요

  • 일시 및 장소 : ‘25.8.28.(목), 10:00∼17:00 / 웨스틴 조선 서울
  • 주제 : 「센서스 100년, 앞으로의 국가통계 100년」
  • 세션구성
국가통계발전포럼 개요

구성, 주요내용, 발표자 및 토론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통계발전포럼 개요 테이블입니다.

구성 주요내용 발표자 및 토론자
등록 10:00~10:30 -
(오전)
전체
세션
10:30~10:35 개회사 - 통계청장
10:35~10:45 환영사 - 강기훈 한국통계학회장
박인호 한국조사연구학회장
10:45~10:50 시상식 올해의 대한민국 통계연구자상 통계청장
10:50~11:20
(30분)
특별강연1 센서스의 경제적 가치 측정 닉 테일러
(영국통계청 인구·이주·연구 개발과장)
11:20~11:50
(30분)
특별강연2 센서스와 유엔인구기금(UNFPA)의 역할 크리스토프 르프랑
(유엔인구기금 아·태지역사무소 수석자문관)
11:50~12:20
(30분)
토론 - 통계청장, 한국통계학회장, 한국조사연구학회장
오찬 12:20~13:30 - -
(오후)
전문
세션
13:30~16:00
(150분)
세션1 (주제) 한국의 센서스 100년: 과거, 현재, 미래 좌장: 김서영 과장(인구총조사과)
센서스의 역할과 의미 김민주 사무관(인구총조사과)
한국의 인구·가구·주택 100년 변천사 최은영 소장(한국도시연구소)
한국의 외국인과 다문화 가구 변화 이창원 선임연구위원(이민정책연구원)
센서스로 보는 주택 및 가구구조 변화 박미선 연구위원(국토연구원)
토론 변종석 교수(한신대학교)
정기선 연구원(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은난순 교수(가톨릭대학교)
13:30~15:00
(90분)
세션2 (주제) 국가통계데이터 분석을 위한 첨단 통계방법론 좌장 : 정성규 교수(서울대학교)
잠재공간기반 문항반응모형을 사용한 혁신학교 시스템 분석 진익훈 교수(연세대학교)
이상치를 가진 다변량 경시적 자료 분석 이근백 교수(성균관대학교)
표본가중치를 반영하는 재현자료 생성방법 연구 장원 교수(서울대학교)
토론 한상태 교수(호서대학교)
이우주 교수(서울대학교)
15:10~16:40
(90분)
세션3 (주제) 다양한 정보출처와 AI를 활용한 국가통계 고도화 좌장 : 이윤석 교수(서울시립대학교)
AI를 활용한 통계작성 고도화 이창용 교수(고려대학교)
인구주택총조사 패널데이터의 활용성과 과제 신인철 교수(서울시립대학교)
국가통계 및 공공데이터 활용 극대화 임종호 교수(연세대학교)
토론 유삼현 교수(한양대학교)
박세호 교수(홍익대학교)

* 구성 및 발표주제, 발표자와 토론자는 상황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음.

연혁

국가통계발전포럼 연혁

회차, 연도, 포럼명, 주제를 제공하는 국가통계발전포럼 연혁 테이블입니다.

회차 연도 포럼명 주제
1회 2011 경제통계발전포럼 경제통계 발전
2회 2012 경제통계발전포럼 경제·사회통계 발전
3회 2013 국가통계발전포럼 국가정책과 국가통계의 조화
4회 2014 국가통계발전포럼 국가통계 정책방향
5회 2015 국가통계발전포럼 국가통계 발전방향
6회 2016 국가통계발전포럼 통계생산 패러다임의 변화
7회 2017 국가통계발전포럼 4차 산업혁명과 데이터의 역할
8회 2018 국가통계발전포럼 증거기반 의사결정과 국가통계의 역할
9회 2019 국가통계발전포럼 디지털 혁명시대의 통계 패러다임 전환
10회 2020 국가통계발전포럼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통계의 역할
11회 2021 국가통계발전포럼 데이터 시대와 국가통계의 역할
12회 2023 국가통계발전포럼 디지털플랫폼정부와 국가통계의 역할
13회 2024 국가통계발전포럼 AI 시대, 국가통계의 대응과 발전방향
콘텐츠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선택

*0/200자 이내

평균 1.0 146명 참여

너비 1640px 이상
너비 1639px - 1180px
너비 768px - 1179px
너비 767px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