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사이트맵 바로가기

소개

  • 국가통계발전포럼은 국가통계 전 분야의 주요 현안에 대한 생산자와 이용자의 소통확대를 통해 국가 통계 확충과 통계 정책 개선을 실시하고자 국가통계 생산주체인 통계작성기관, 정책고객인 정책부서 및 수요자인 국민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통계청의 대표 포럼입니다.
  • 국가통계발전포럼 홈페이지(forumkostat.kr)

제11회 국가통계발전포럼 개요

  • 일시 및 장소 : 21년 8월 27일(금), 10:30 ~ 15:30 / 온라인 (포럼 홈페이지 및 유튜브 통계청 채널)
  • 주제 : 데이터 시대와 국가통계의 역할
  • 세션 구성
세션 구성에 대한 구분, 주요내용, 발표자 및 토론자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분 주요내용 발표자 및 토론자
전체세션
(10:50~12:00)
기조연설 데이터의 변신과 국가의 역할 김용대 교수(서울대)
기조발표 내용에 대한 패널 자유 토론 류근관 통계청장
고길곤 교수(서울대)
이태수 원장(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용대 교수(서울대)
전문세션(13:00~15:30) ① 동형암호 기법을 활용한 개인정보보호 송용수 교수(서울대)
② 저출산 고령사회 대응 인구통계 발전방안 최슬기 교수(KDI)
③ 국가통계 관리체계 개편안 온누리 사무관(통계청)
④ 데이터 프라이버시 국제동향과 과제 김기태 대표(UPS주식회사)
⑤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상담 알고리즘 개발 한상태 부회장(통계학회)

연혁

국가통계발전포럼 연혁에 대하여 회차, 연도, 포럼명, 주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회차 연도 포럼명 주제
1회 2011 경제통계발전포럼 경제통계 발전
2회 2012 경제통계발전포럼 경제·사회통계 발전
3회 2013 국가통계발전포럼 국가정책과 국가통계의 조화
4회 2014 국가통계발전포럼 국가통계 정책방향
5회 2015 국가통계발전포럼 국가통계 발전방향
6회 2016 국가통계발전포럼 통계생산 패러다임의 변화
7회 2017 국가통계발전포럼 4차 산업혁명과 데이터의 역할
8회 2018 국가통계발전포럼 증거기반 의사결정과 국가통계의 역할
8회 2019 국가통계발전포럼 디지털 혁명시대의 통계 패러다임 전환
10회 2020 국가통계발전포럼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통계의 역할
콘텐츠 만족도 조사

현재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선택

*0/200자 내외

평균 1.0 28명 참여

너비 1640px 이상
너비 1639px - 1180px
너비 768px - 1179px
너비 767px 이하